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철3월7

멍게의 효능, 궁합음식, 싱싱한 멍게 고르는 법, 손질방법 멍게(영어: Sea squirt)는 표준어로 우렁쉥이라고도 불리며 지방질이 거의 없어 해삼, 해파리와 함께 '3대 저칼로리 수산물'로 꼽기도 합니다. 멍게는 측성해초목 무척추동물에 속하는 해산물로 우렁쉥이이라고도 불립니다. 멍게 제철은 5월에서 8월 사이로, 이 시기에는 감칠맛을 내는 글리코겐이 겨울철에 비해 7배나 더 있습니다. 이 시기에 멍게는 봄철 자주 맛볼 수 있는 해산물로 쌉쌀하면서도 은은한 단맛이 배어있는 맛이 특징입니다. 멍게는 주로 초고추장과 함께 회로 먹으며 구이나 조림, 찜 등의 다양한 요리로 섭취하기도 하는데요. 특히 멍게는 지방질이 거의 없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해삼, 해파리와 함께 3대 저칼로리 수산물로 꼽힌다고 합니다. 그러면 멍게에는 어떤 효능들이 있는지 지금부터 하나하나 알아.. 2023. 10. 26.
취나물 효능과 부작용, 먹는 방법, 궁합 음식 취나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참취, 개미취, 각시 취, 미역취, 곰취 등 그 종류가 다양합니다. 한국, 일본, 중국, 사할린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향긋한 봄 내음이 가득한 취나물은 참취의 어린순으로 식용하기 때문에 취나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취나물은 미각을 돋우는 뛰어난 쌉쌀한 맛과 약간 아릿한 향기 때문에 향소라고도 불립니다. 자연산 취나물은 보통 3월에서~5월까지 제철로 이 시기에는 야생에서 자란 취나물을 맛볼 수 있습니다. 취나물은 취의 새순이 싹을 틔우면서 농부에게 봄을 알린다는 의미로 동풍채 (東風菜)라는 본초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민간에서는 동풍채를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는 효과가 있으며 인후를 이롭게 하고 눈을 밝게 하고 황달, 간염, 기침, 소화장애, 타박상, 뱀에 물린 상.. 2023. 10. 24.
백년초 효능 및 부작용(명현 현상), 먹는법 줄기 모양이 손바닥 모양처럼 넓적한 형상을 하고 있어서 손바닥선인장이라고 불리는 백년초는 중남미가 원산지로 국내에서는 물 빠짐이 좋은 제주도에서 자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열매를 먹으면 백가지 병을 고칠 수 있으며 백 년을 살 수 있다고 하여 백년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백년초에는 페놀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비타민A, B, C, 칼슘, 사포닌, 식이섬유, 아미노산 무기질, 마그네슘, 복합 다당류 등이 들어있고 병충해에 강하고 겨울 노지에서도 살아남는 강한 생명력을 가진 식물로 4~5월경 열래가 열리고 이후 꽃이 피고 지면서 11~12월경에 자주색으로 열매가 무르익어 수확한다고 합니다. 즙으로 마시면 구토를 일으키는 위통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이 되고 기침을 멎게 하며 체질을 개선시켜 주는 효능이 있.. 2023. 9. 27.
양배추 삶는 법(찌는 법), 양배추 삶기, 양배추 돼지고기 말이 양배추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즐겨 먹던 채소로 미국의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3대 장수식품 중 하나입니다. 양배추의 품종은 매우 다양한데 현재는 푸른 양배추, 적양배추, 사보이 양배추, 방울 다다기 양배추 등이 일반적으로 소비되고 있습니다. 푸른 양배추의 소비량이 가장 많으며 샐러드와 볶음요리, 숙채 등으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적양배추는 샐러드 채소, 즙 등 제한적으로 사용되나 최근 소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보이 양배추는 최근 제주지역에서 시험 재배에 성공하여 유통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방울 다다기 양배추가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방물토마토만큼 작은 크기에 일반 양배추보다 2배 이상의 영양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양배추는 부위별로 영양소의 함유가 다르게 되어 있는데 겉잎에는 비타민A와 철.. 2023. 9. 22.
성게 알 효능 영양성분, 부작용 및 주의점 성게는 극피동물문의 성게강에 속하는 동물들을 두루 일컫는 말로써 전 세계적으로 약 900여 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약 30여 종이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성게는 풍부한 단백질과 무기질 성분들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바다의 호르몬이라는 별칭 또한 있습니다. 성게는 그 종류마다 제철에 차이가 있는데, 대표적인 몇 가지만 추려보자면 보라성게와 둥근 성게의 경우 산란기가 여름 철이기에 그 이전인 5월 초부터 7월 말까지가 가장 맛있고, 산란기가 3월~4월인 말똥성게의 경우 늦가을~겨울철이 맛이 좋다. 또한 성게는 산란기가 지나면 속이 텅텅 비어 먹을 것이 없으므로 특히 다른 해산물보다 제철을 잘 맞춰 즐겨야 한다. ※ 성게알의 영양성분과 효능 ▶ 단백질: 근육, 호르몬 건강 성게 100.. 2023. 9. 18.
홍어 효능 12가지와 부작용, 홍어 요리(무침, 탕, 삼합) 홍어는 홍어목 가오리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입니다. 톡 쏘는 특유의 맛이 특징인 홍어는 전남 서해안 지역의 대표적인 특산요리로 유명하며 찜이나 조림, 무침, 매운탕, 회 등의 다양한 요리 재료로 많이 이용되는데요. 특히 삭힌 홍어와 돼지수육, 묵은 김치와 함께 곁들여먹는 홍어삼합과 막걸리와 곁들여먹는 홍탁이 가장 유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홍어 영양 효능은 홍어의 모든 부위 모두 좋다고 합니다. 홍어 살, 홍어 뼈, 홍어 껍질, 홍어 껍데기, 홍어 간의 효능 모두 건강에 좋다고 하는데요. 뼈는 관절염에, 간은 뇌 건강에, 껍질은 피부에, 등등 보양식이 따로 없다고 합니다. 홍어는 6월 초부터 한 달 보름간 금어기를 제외하곤 사철 잡히지만 초겨울부터 4월 초까지 잡히는 것이 최고로 맛있습니다. ※ 홍어의 .. 2023. 9. 9.
부추(정구지)의 효능 및 부작용, 고르는 법, 보관 방법 부추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우리 몸의 양기를 돋우는 따뜻한 성질을 가진 채소입니다.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노화를 방지하고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아주 좋은 재료입니다. 봄 부추는 천연 자양강장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양기를 돋우는 데 효능이 있는 채소입니다. 지방에 따라 부추를 정구지, 부채, 주초, 난총이라 부르기도 하며, 기후 적응성이 좋아 우리나라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3~4회 노지 수확이 가능하고, 그 이후에는 주로 시설 재배를 하게 됩니다. 봄에 처음 올라오는 부추가 가장 연하고 맛이 좋으며, 부추에는 약간의 매운맛과 신맛이 있고 특유의 향이 있는데, 이는 부추의 유황 화합물에 의해 나는 것입니다. 부추는 잎의 크기에 따라 대엽과 소엽으로 나뉘는데 소엽.. 2022. 6. 7.
반응형